청아람

VOL 110

2021 JULY
홈 아이콘 DAPA 연구록 DAPA 연구록 ②

무기체계 작업분할구조도(WBS) 기반 핵심기술과제

핵심기술기획 간 유기적 협업체계 구축으로 무기체계 전주기 시너지 효과 창출

국방기술기획의 궁극적인 목적은 미래의 첨단무기체계에 적용할 핵심기술을 사전에 식별하고 기획해 국내 독자개발능력을 확보하고 무기체계를 적기에 전력화시키는 것이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방위사업청은 2020년부터 그동안의 기술 중심 기술기획을 탈피해 무기체계 작업분할구조(WBS) 조사·분석을 통한 핵심기술 식별 및 과제결정을 추진하고자 노력해 왔다. 그 결과, 지난 3월 발간한 <2021~2035 핵심기술기획서> 에서 주요 무기체계들에 대한 ‘WBS 기반 핵심기술 중장기 로드맵’을 통해 무기체계에 직접 적용 가능한 핵심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청사진을 제시한 바 있다.

  국방기술보호국 기술혁신과

DAPA 연구록 ② 03 DAPA 연구록 ② 03

관련 기관 간 ‘융합적 협업’ 필요

DAPA 연구록 ② 02

[핵심기술 도출 방법의 변화]

기존 기술기획은 적용 무기체계의 구체적인 성능과 형상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개발자 중심으로 무기체계의 개략적인 요구능력을 충족하는 기술개발에만 초점을 맞췄다. 그 결과 개발된 기술을 무기체계에 적용하기 위해 추가적인 연구개발이 필요하다는 점 등 아쉬운 점이 발생했다.

또한 기술에 대한 전문지식이 부족한 사업팀과 소요군은 개발된 기술을 어떤 무기체계에 어떻게 적용될 것인지에 대해 고민이 부족했던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미래 전력화 예정인 무기체계에서 요구되는 능력과 운용개념을 가장 잘 아는 기관이 소요군과 사업팀이라는 것은 주지하는 사실이다. 특히, 급격한 기술 진보가 이루어지는 현재 시점에서 소요군과 사업팀은 더 이상 사용자로 머무르지 않고 첨단기술을 활용한 미래 무기체계 소요를 끌어내는 기술 군으로 거듭나야 한다.

이에 따라 작년에는 사업팀 자체적으로 12개의 과제를 발굴해 제안했으며, 과제선정을 위한 검토를 위해 ‘핵심기술기획팀’에 분야별로 사업팀의 전문가가 참여했다. 특히, 선도형 핵심기술과 핵심SW 기획연구 시에는 해당과제를 직접 제안한 사업팀 팀원이 전문가들로 구성된 기획연구팀을 이끌기도 했다. 이것이 가능했던 것은 사업팀의 적극적인 과제 발굴 노력과 국방기술보호국의 정책적·기술적 지원, 기술지원기관의 성실한 기술자문에 의한 것이었으며, 이는 각자의 역할에 충실했던 ‘통섭’에 의한 것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더 큰 시너지 효과 창출을 위해서는 여기에 머무르지 않고 관련 기관 간 ‘융합적 협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DAPA 연구록 ② 01

각 분야의 전문가 간 유기적 협력 더해

DAPA 연구록 ② 04

올해는 기획단계에서부터 국방기술기획 정책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해 함께 고민하고 과제를 발굴하는 노력을 수행했다. 국방기술보호국에서는 3월 5일부터 15일까지 전 사업관리 부서를 대상으로 〈2021∼2035 핵심기술기획서〉 및 2021년 핵심기술 기획방향에 대해 설명했으며, 사업본부 중심의 과제 발굴 및 제안 방안에 대한 간담회를 실시했다. 특히, 과제제안 시 사업팀의 애로사항인 타 과제와의 중복성 검토, 연구목표 및 방법 제시, 개발기간 산정, 예산 판단에 대한 기술적 지원을 위해 사업팀-국방기술보호국-기술지원 기관(방위산업기술진흥연구소, 국방과학연구소) 간 협업을 통해 과제제안 추진절차를 정립해 시행했다.

4월에는 더욱 정교한 과제 발굴 및 제안을 위해 미래전력사업본부의 과제 발굴에 국방기술보호국이 적극적으로 참여해 128개의 핵심기술 과제를 제안할 수 있었다. 기동·화력 무기체계 핵심기술과제 발굴을 위해 육군과 공동 개최한 ‘핵심기술 과제 발굴 협업 세미나’ 참여로 ‘무기체계 패키지형 응용연구’ 중심으로 대형과제 발굴을 위한 공동 노력을 수행했다. 5월부터는 사업팀, 소요군, 산학연, 정부출연연구기관, 방위산업기술진흥연구소, 국방과학연구소 등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국방기술 혁신협의체’에 분야별 사업팀 전문가들이 직접 참여해 ‘무기체계 패키지형 응용연구’ 과제 기획연구 등을 수행할 예정이며, 10월에 방위사업기획·관리실무위원회를 거쳐 핵심기술과제로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더는 각자의 자리에서 전문성을 발휘하는 것만으로는 4차 산업혁명 등으로 대표되는 첨단 과학기술 중심의 혁신적인 무기체계 개발을 기대할 수 없다. 앞으로 관련 기관 각 분야의 전문가 간 유기적인 협력을 더욱 강화해 다가오는 미래를 준비해야 할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