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아람

VOL 102

JULY · AUGUST 2020
홈 아이콘 Dear Story DAPA가 만나다

여전히 찬란한, 로봇에 대하여

한국로봇산업진흥원 김소영 팀장
국방로봇사업팀 김영숙 수석전문관

어린 남자아이는 로봇 장난감, 여자아이는 인형 선물. 오래된 발상이라는 한 전문가의 말이 떠오른다. 이제 그런 시대는 지나갔다는 말을 실감하듯, 오늘 모인 두 여성에게 드라마나 영화 속에서 볼법한 뻔한 이야기는 없었다. 오직 로봇 하나! 로봇이라는 주제를 두고 주고받은 아름다운 우리 미래에 관한 이야기다.

로봇 전문가가 또 다른 로봇 전문가를 만나다

김영숙 수석전문관(이하 김영숙).
여성 로봇전문가를 만나 더욱 반갑습니다. 저는 국방로봇사업팀에서 근력증강로봇 핵심 기술 사업을 담당하는 김영숙 수석전문관입니다.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의 김소영 팀장님 얘기는 연구와 여러 세미나에서 익히 들었습니다. 저희 <청아람> 독자를 위해 팀장님 소개를 부탁드리겠습니다.

김소영 팀장(이하 김소영).
안녕하세요. 대한민국 방위산업의 중심인 ‘방위사업청’과 만날 수 있게 되어 영광입니다. 한국로봇산업진흥원 국내제조로 봇혁신팀에서 로봇산업의 육성을 위해 일하고 있는 김소영 팀장입니다. 저 역시 오늘 김영숙 수석전문관이 나와주셔서 무척 반갑네요. 우리 분야에서 여성 전문가를 만나는 일이 그리 많지 않아서요.

DAPA가 만나다01 한국로봇산업진흥원 김소영 팀장

DAPA가 만나다02 방위사업청 국방로봇사업팀 김영숙 수석전문관

“성장 가능성이 큰 4대 분야를 중심으로 서비스 상용화 및 신산업 창출에 걸림돌이 되는 규제와 법·제도의 재정비가 필요합니다”

“지금 당장 눈앞의 성과를 가져오지 못하더라도 언젠가 미래에는 그 빛을 볼 수 있음을 인식하고 현재에 준비하는 자세가 필요할 것입니다.”

김영숙 저 역시 마찬가지랍니다. 오늘 각자 일하는 분야의 현주소와 전망에 대해 이야기해볼 텐데요. 먼저 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구글, 아마존, 테슬라 같은 기업들이 로봇 시장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에 대한 팀장님의 생각이 무척 궁금합니다.

김소영 현재 국제로봇연맹(IFR)은 전 세계 제조업용 로봇 시장이 ’22년까지 연평균 12%의 높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서비스용 로봇은 ’22년까지 연평균 40% 이상 성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저출산·고령화 추세로 인해 생산가능인구가 감소되고, 생산성 향상 등의 제조경쟁력 강화를 위해 제조업 분야 로봇 수요는 계속적으로 증가할 것입니다.
이로 인해 해외는 물론, 국내까지 제조 로봇(산업용 로봇, 협동 로봇 등)을 필두로 중소기업 대상의 로봇 적용이 확산되겠죠. 이미 글로벌 대기업은 급성장하는 로봇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앞다투어 뛰어들면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고 있고 특히 AI, IoT, 5G 등 새로운 기술과 융합하며 로봇을 중심으로 하는 제조 및 서비스산업의 비중은 그 어느 때보다도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에 반해, 국내 로봇산업은 연 매출 100억 원 미만의 기업이 97%에 달하며 시장을 주도적으로 이끌어나갈 글로벌 선도 기업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로봇 시스템 통합기업(SI기업)과 서비스 전문기업의 역량도 취약해 이에 대한 육성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제조로봇 분야로서 제 짧은 견해는 이렇습니다. 국방 분야도 궁금한데요. 김영숙 전문관님은 어떻게 생각하고 계신가요?

김영숙 김소영 팀장님이 잘 정리를 해주셨네요. 로봇기술은 4차 산업혁명의 모든 기술을 집약한 분야로써 4차 산업혁명을 가장 잘 설명하고 있는 기술 분야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도 ‘무인 이동체 발전 5개년 계획’, ‘10개년 로드맵’ 등을 발표하면서 민간 분야에서의 드론, 자율주행차량 등 무인산업을 적극 육성하고 있죠. 국방 분야에서는 ‘무인체계 기술·소요 로드맵’과 ‘무인/유·무인 복합체계 추진계획’이 포함된 ‘국방과학기술진흥정책’, ‘핵심기술로드맵’, ‘4차 산업혁명 기술적용 무기체계 종합추진계획’ 등을 수립하여 추진함으로써 로봇기술과 산업의 발전이 무인 무기체계로 연결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국방정책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무기 무인체계는 무인기를 중심으로 가장 먼저 진출하고 발전시켜 왔으며, 점차 지상무인차량에 이어 무인 해양 분야까지 기술 개발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지상 분야에서는 감시·정찰, 물자 운송, 구난용의 무인차량과 폭발물 탐지·제거 및 지뢰탐지용 로봇이 무기체계로 활용될 단계까지 개발 되었으며, 휴머노이드형이나 생체모방형 로봇에 대한 핵심 기술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습니다. 또한, 해양 분야에서는 해상과 수중에서 감시 정찰, 대기뢰 및 대잠전 임무를 수행할 무인수상정과 무인잠수정 기술 개발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항공무인체계 분야에서는 중고도급, 군단급 등 다양한 무인기를 개발하고 있으며, 특히 국방드론 분야는 신속획득시스템을 활용하여 민간 드론산업을 우리 군에 도입함으로써 좀 더 빨리 군용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DAPA가 만나다03

김소영 전문관님의 말씀처럼 무인이동 분야는 올해 가장 핫한 이슈라고 생각됩니다. 그 중심에는 신종 코로나 사태로 인해 비대면 형태로 소비하는 ‘언택트(Untact) 소비’가 자리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앞으로는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이 결합된 언택트 소비 기반 로봇들이 주목을 받을 거란 생각이 드네요. 특히 성장 가능성이 큰 4대 분야(돌봄, 웨어러블, 의료, 물류)를 중심으로 서비스 상용화 및 신산업 창출에 걸림돌이 되는 규제와 법·제도의 재정비 또한 필요한 상황입니다.

김영숙 좋은 조언이십니다. 국내 로봇산업과 국방 로봇산업, 양쪽 모두 로봇 수요를 창출하고 로봇 활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고 확산할 수 있는 다양한 시도가 필요할 것입니다.

DAPA가 만나다04

끝이 없는 상상의 세계, 로봇이라 가능하다

김영숙 제가 얼마 전에 모 대학교 로봇 특화연구센터의 전문연구기관 선정을 위한 평가를 한 적이 있습니다. 평가하면서 느낀 점은 어떤 기술이나 산업이 성숙 단계에 들어가면 자연스럽게 관심과 투자가 증폭되지만, 해당 기술이 기초단계이거나 아직 상용화되지 않은 경우에는 개발 결과에 대한 피드백, 즉 가시적 성과가 미비하기 때문에 그만큼 기술 개발에 필요한 예산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연구시설도 부족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우리나라도 로봇 분야에서 선진국의 대열에 들어간 만큼 지금 당장 눈앞의 성과를 가져오지 못하더라도 언젠가 그 빛을 볼 수 있음을 인식하고 현재에 준비하는 자세가 필요할 것입니다.
이에 방위사업청에서는 착용형 로봇, 정찰 로봇, 다족형 로봇, 휴머노이드 로봇, 생체모방 로봇을 비롯해 무인기, 무인수상정, 무인잠수정까지 중점기획 대상 무기체계로 분류함으로써 로봇 관련 핵심 기술 개발을 위해 관심과 투자를 아끼지 않을 계획입니다.
또한, 국방 생체모방 자율로봇 특화연구센터, 미래국방 인공지능 특화연구센터 등 대학교, 연구기관을 적극적으로 지원해 로봇 분야 기초 연구와 기반 기술 확보를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김소영 역시 핵심은 관심과 지원인 것 같습니다. 그것이 우리 미래를 더욱 풍요롭게 하는 확실한 투자라고 생각합니다. 외적인 질문이지만 독자의 질문이 들어왔는데요. ‘여성으로서 로봇 분야에 대한 어려움은 없었나’ 하는 것 입니다. 전문관님 동의하시나요?

김영숙 전혀 없었습니다. 오히려 섬세하고 꼼꼼한 면이 정교한 기술을 요하는 분야에 더욱 두드러지지 않을까요? 저는 이런 부분 때문에 많은 여성들이 로봇산업으로 진출하기를 희망합니다.

김소영 동감입니다. 예전에는 남성이 많았습니다. 그러나 최근 과학기술부 보좌관에 47세 최연소 과학자로 여성이 발탁되신 것처럼 근래에는 여성에 대한 시선과 시도가 많이 달라졌습니다. 물론 아직도 남아있는 사회 통념적인 부분도 있지만, 적어도 제가 지나간 자리에는 이러한 통념이 작용하지 않도록 더 노력하고 싶습니다.

김영숙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저 역시 남녀 구분하지 않고 국가의 미래를 책임지는 로봇산업이 더욱 찬란히 빛나길 바랍니다.
함께 해주셔서 더욱 뜻깊은 자리가 된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국내 로봇산업을 위해 더 좋은 연구를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