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아람

VOL 119

2022 APRIL
홈 아이콘 DAPA 연구록 DAPA 연구록 ③

국방로봇의 역사

첨단 기술을 탑재한 로봇으로 미래전장을 대비해야 한다

인공지능, 센서 등의 기술은 우리 삶을 비약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이런 기술의 발전 중 로봇은 국방분야에서 군인의 생명을 보호하고 전투효율을 극대화시키는 등의 이유로 다양하게 도입되고 있다.

  미래전력사업지원부 미래전력사업총괄팀

DAPA 연구록 ① 01

로봇의 출현

로봇(Robot)은 강제노동과 노동자를 각각 뜻하는 체코어 ‘Robota’와 ‘Robotik’에서 유래했다. 1920년 체코작가 카렐 차페크의 소설 《로섬의 만능로봇(Rossom’s Universal Robot)》에서 로봇은 ‘인간의 일을 대신하는 자동장치’로 ‘로봇’이라는 용어가 최초로 소개됐다. 최초로 산업용 로봇이 실용화된 것은 1962년 제너럴 모터스(GM)가 뉴저지에서 자동화로 생산된 로봇 유니메이트(Unimate)부터다. 현재는 인공지능, 자율주행 기술과 결합해 군사적으로 이용할 뿐만 아니라 민간의 서비스 분야로까지 활용성이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다.

DAPA 연구록 ③ 02

국방로봇의 도입 필요성

2004년 국방과학연구소가 발간한 ‘국방지상로봇 종합계획’에서, 국방로봇은 대칭·비대칭 전투환경에서 ‘위험하고(Dangerous)’, ‘어렵고(Difficult)’, ‘지루한(Dull)’ 업무를 수행하면서 병사 또는 유인시스템의 대행과 획기적인 능력 증대를 위한 전투·비전투시스템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하지만 국방로봇의 본질적인 출현 배경은 저출산과 인구 고령화로 병력 자원이 크게 줄어들고 있고, 이에 따라 병력위주의 양적구조에서 기술위주의 질적구조로 군구조를 바꾸는 상황에서 찾아볼 수 있다. 특히, 국방로봇은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고 전투효율은 극대화할 수 있어 인명중시 사상에 부합한다고 볼 수 있다.

전장 활용 사례

미국은 1997년 보스니아전과 1999년 코소보전에 지뢰탐지 및 제거 등을 위해 폭발물 처리 로봇인 ‘미어캣’을 투입했고, 2001년 9·11테러 현장과 2002년 아프가니스탄전에 소형정찰 로봇인 ‘팩봇’을 수색용으로 활용해 국방로봇의 효과를 실제전투를 통해 검증했다.

또한 정찰과 폭발물 처리 임무를 수행하며 유용성이 입증된 무인무기는 2000년대 들어서며 수송, 전투기능을 갖춘 형태로 탈바꿈하고 있고 각국도 경쟁 중이다. 미국이 개발 중인 중형 다목적 차량에 기관총과 유탄발사기 등 공격무기와 최루탄, 연막탄 등 방어수단을 탑재했다. 이스라엘은 국경과 중요시설을 순찰하는 차량형 로봇인 ‘가디엄’을 개발하고 이를 개량해 기관총을 탑재한 파생모델을 개발했다. 이 차량은 위험지역에서 사람이 탑승한 차량을 호위하고 원격조정으로 주변을 순찰하는 것도 가능하다.

우리나라도 현재 무인수색차량, 폭발물 탐지·제거로봇, 무인수상정 등을 군에 운용하기 위해 획득방안 검토 및 개발하고 있다.

향후 발전 방향

민간로봇은 활용분야가 편중되고 핵심부품 및 기술은 선진국에 의존하는 등 로봇산업 전반적으로 경쟁력이 취약한 실정이다. 군이 로봇, AI 등 신기술을 적극 도입해 미래 위협에 대비함과 동시에 국내 민간산업도 발전시키기 위한 선순환적 발전전략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미래는 친환경가치가 크게 대두될 것이며 이에 따라 저탄소중심 산업구조에 대비해 수소연료전지를 장착하고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양자기술, 사이버보안(Cyber Security) 등의 신기술이 결합된 복합형 로봇으로 발전을 준비해야 한다. 장기적으로는 경제성을 고려해 플랫폼을 계열화하고 핵심기술 및 구성품을 공용화하는 개발 노력을 통해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중장기 로드맵을 수립 발전해 나가야 한다. 빠른 속도로 발전하는 기술만큼이나 그에 맞는 철학이나 인식에 대한 고민을 통해 로봇윤리 또한 발전시켜 인간과 로봇이 어떻게 공존할 방안에 대한 연구도 게을리하지 않아야겠다.

폭발물탐지제거로봇

DAPA 연구록 ③ 03

미국의 정찰용 로봇 '팩봇'

DAPA 연구록 ③ 04

DAPA 연구록 ③ 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