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 개발 경험과 기술이 전무했던 1970년대에 지대지미사일 ‘백곰’을 시작으로 발전해 온 우리의 유도무기.
한국의 유도무기 역사와 함께 탑재된 기술을 살펴본다.
● 지상
● 해상
● 항공
기술편
끊임없이 첨단기술 도입을 강구하다
1970`S
● 백곰(지대지미사일)
전무했던 미사일 개발 기술의 한 획을 그은 백곰. 모양은 미국 나이키 허큘리스 미사일과 동일했지만 내부 핵심기술인 반도체화 된 유도조정장치·사격통제장비 그리고 탄두, 추진기관 등이 국내 기술로 제작됐다.
● 20km급 다연장로켓(중거리급 로켓)
1980`S
● 백곰 개량형(NHK-2)
관성항법유도방식, 대형단일추진기관 및 이동식 체계 개념으로 백곰 기본형의 단점을 보완해 정밀도를 높였다.
● 현무(지대지미사일)
백곰 개량형의 형상을 유지하고 성능을 보완한 미사일이다. 이동 시 유도탄이 예열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열변환기가 개발 설치됐다.
● 구룡(다연장로켓)
당시 경험과 기술이 부족했기에 곡면형 날개가 아닌 평판형 날개를 사용해 로켓탄의 안정성을 유지하려 했다. 이런 시험적인 도전은 순수한 국내 기술의 사례가 됐다.
● 해룡(함대함미사일)
● K744 대잠어뢰
1990`S
● 천마(지대공미사일)
국산화한 탐지레이더와 무연추진제가 적용되었으며 자체적인 화생방 보호 능력도 갖췄다.
● 백상어(중어뢰)
자체 음향 탐색기로 표적을 찾는 발사 후 망각(Fire & Forget) 방식을 사용한 어뢰로 최초의 한국산 중어뢰다.
2000`S
● 현무-II,III(지대지미사일)
● 신궁(지대공미사일)
국내 기술을 바탕으로 안개와 구름 속에서도 표적을 탐지하는 신관으로 신뢰성을 높이고, 조절형 파편 탄두가 적용되어 탄두의 생존성을 높였다.
● 청상어(중어뢰)
빔 조향기술을 적용한 능동형 소나(SONAR)로 적 잠수함을 탐지 추적을 할 수 있다. 또한 어뢰운용 기법 역시 독자적으로 개발했다.
● 범상어(중어뢰)
발사 잠수함과 어뢰가 광섬유로 연결되는 선유도(Wire-Guided) 방식을 사용한 어뢰다.
● 해성(함대함미사일)
고성능 GPS/INS에 의한 중기 유도와 능동형 초고주파탐색기를 활용해 종말유도, 재공격, 종말회피기동이 가능해졌다.
2010`S
● KTSSM 전술지대지미사일
토사와 콘크리트 벽을 관통 후 동작하는 탄두와 신관기술을 장착했다.
● K30 비호복합 지대공미사일
● 천궁(지대공미사일)
대표적교전기술, 유도탄의 비행 중 표적포착 기술 등도 확보하게 되었다. 3차원 위상배열교전레이더의 국산화를 정착시켰으며, 유도무기의 항법기술을 독자적으로 개발시킨 무기체계다.
● 현궁(대전차미사일)
● 천무(다연장로켓)
● 홍상어(대잠미사일)
● 해룡(대잠미사일)
● 해성-II(함대함미사일)
제트엔진, 탐색기 분야의 국산화를 이뤘다.
● 해궁(대함유도탄방어유도탄)
국내 최초로 개발된 함대공미사일로, 적외선영상탐색기와 초고주파탐색기를 모두 장착했다.
● KGGB(한국형 유도 폭탄)
재래식 일반목적폭탄에 임무 계획 장비, 명령 통신장비, GPS 유도키트를 장착해 무선 제어가 가능하다.
● 비궁(2.75인치 유도로켓)
적외선 영상탐색기 기술과 패턴매칭 기술을 탑재해 발사 후 망각방식으로 동시에 다표적을 타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