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 직전 남한과 북한의 보유 무기

전쟁에서 활약한 무기
전투기

-
F-51 머스탱
우리 공군이 처음으로 운용한 전투기다. 전쟁 초기 10대를 인수해 주로 지상작전에 투입됐다.
-
F-86 세이버
소련의 MiG-15에 대항하기 위한 최신형 제트전투기. 특히 성능개량을 한 F-86F는 MiG-15와의 전투에서 우수한 전적을 기록했다.
함재기

-
F4U 코세어
미 해군과 해병대에서 운용한 1인승 함재용 프로펠러 전투기다. 북한의 주요 시설물을 폭격하고 UN 지상군 근접항공을 지원했다. 최초로 공산군 MiG-15를 격추한 저력을 지녔다.
폭격기

-
B-29 슈퍼포트리스
일본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폭탄을 투하한 기종이다. 6·25전쟁에서는 북한군을 향해 약 30t의 폭탄을 투여했다.
연락기

-
L-4 글래스하퍼
우리 공군이 창설할 때 주전력 중 하나다. 미국으로부터 10대를 인수해 자체 조립했다. 연락기이지만 후방석의 관측사가 2개의 폭탄을 수동으로 투하하기도 했다.
대전차무기

-
바주카(M20 3.5인치)
북한의 T-34 전차에 대항한 대전차무기다. 우리 군이 보유한 M9 2.36인치 바주카포로 T-34 전차를 타격할 수 없어지자 미국에서 공수했다.
전차

-
센추리온 전차
영국군의 주력 전차로, 중공군의 대규모 공세에서 중요하게 활약했다.
-
M26 퍼싱 전차
한반도에 최초로 투입된 미군의 전차인 M24 채피 경전차가 북한군을 상대하기 어려워지자 동원된 중형전차다.
-
M4A3E8 셔먼 중형전차
비슷한 시기 활동한 M26 퍼싱 전차, M46 패튼 전차보다 대전차 전투 능력은 떨어지지만, 험지에서의 돌파력과 정비 용이성을 지녔다.
-
M8 그레이하운드 장갑차
우리 군이 유일하게 보유했던 장갑전투차량으로, 전쟁 초기 한강방어선 전투 당시 김포, 영등포 일대에서 북한군의 공격을 지연시킨 전력이 있다.
화포

-
M1 81mm 박격포
산악전에서 큰 효과를 본 주력 박격포다.
-
M2 105mm 곡사포
전쟁 발발 직후 우리 군에 도입돼 사단급 화포로 활약했다.
-
M36 대전차자주포
대전차자주포였으나, 우리 군은 이를 전차처럼 활용했다. 고지쟁탈전 동안 적의 진지를 직사로 타격하는 데 사용했다.
소화기

-
M1 거랜드 소총
세계 최초의 제식 반자동 소총으로, 참전국의 개인화기로 사용했다.
-
M1/2 카빈 소총
제2차 세계대전 중 미군이 개발한 소총이다. M1 거랜드 소총보다 손쉬운 사용성과 경량화로 많은 군인에게 인기가 높았다.
전투함

-
백두산함(PC-701)
우리 해군의 첫 전투함. 북한의 무장수송선과의 대치에서 적함을 격침시키며 우리의 첫 승전보를 전한 전투함으로 대한해협전투, 서해안 봉쇄작전, 인천상륙작전 등에도 참가했다.
전함

-
미주리호
아이오와급 전함의 3번함으로, 북한의 주요한 항구도시를 함포로 사격했다. 특히 흥남철수작전에서 마지막까지 남아 포격을 통해 중공군의 접근을 차단하며 피난민의 탈출을 지원했다.